(웹마스터 도구 등록)
'블로그가 대중에게 노출이 잘 될수록 수익이 높을 것이다'
라는 생각은 누구나 다 할 수 있을것입니다. 저 역시 당연히 그렇게 생각을 했구요.
구글 애드센스로 돈벌기 책을 보니까
'상위노출을 위한 첫 번째 관문'
이라고 하면서 내 블로그를 검색포털 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라 라고 나와 있었습니다.
생소한 영역이지만 책에 나온대로 무작정 따라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우선 네이버입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싸이트 들어가셔서 로그인을 합니다. (검색창에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라고 치면 됨)
책에 나온 팁하나를 알려드리자면 포스팅 할 때 주소 링크는 지양하라고 되어 있어서 처음엔 웹마스터 도구
싸이트 주소를 기재했다가 다시 검색어로 수정하였습니다.
↓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로그인 화면
로그인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왼쪽 초록색 사이트 추가를 클릭하면 됩니다.
저는 이미 웹마스터 도구 등록을 해서 그런지 이 화면이 다시 나오지 않아서 다른 이미지를 구했습니다.
↓ 연동할 사이트/앱 추가 화면
초록색 사이트 추가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 연동 사이트/앱/채널 목록 화면
우선 프로토콜을 선택하라고 합니다.
음.. 프로토콜?
솔직히 뭔지 잘 모릅니다. 분위기 보니까 대충 http vs https 인거 같은데 블로그 주소 보니까 s가 없습니다.
가뿐히 http 선택!
내친김에 s가 있고 없고 차이가 궁금해서 검색을 해봤는데 s는 secure(안전한) 의 약자랍니다.
간단히 말해서 s가 붙은 https 싸이트는 뭔가 좀 보안이 강화된 싸이트라고 합니다.
그러고 보니 언제부턴가 https가 눈에 띄더니 이런 이유였나 봅니다.
구글이나 네이버도 지금 보니까 https입니다. 은행 사이트 같은 경우도 당연히 s가 붙겠네요.
이야기가 잠시 셌는데 프로토콜 선택 후 빨간 줄 칸에 본인 블로그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확인 클릭!
그리고 나면 아래와 같은 사이트 소유 확인 및 html 태그 화면이 나옵니다.
↓ 사이트 소유 확인 및 html 태그 화면
(휴대폰으로 찍은 이미지는 진짜 안좋습니다;;)
저는 여기서부터 슬슬 뇌가 과부하가 걸리기 시작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1. 빨간 네모칸에 메타태그라는 외계어를 드래그 & 복사 후
2. 내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에 HTML/CSS 편집에 가서 <head> 한 칸 밑에 붙여넣기 후 저장을 누른 후
3. 다시 메타태그 복사했던 화면으로 와서 밑에 초록색 확인을 클릭하면 됩니다.
천천히 전개하자면,,
먼저 메타태그 드래그 & 복사 후 (혹시 모르니 메모장 같은데 미리 붙여넣기 해도 편합니다)
아래 사진에 내 HTML/CSS 편집을 클릭하면
외계어가 난무하는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책에는 메타태그와 메타태그 사이에 붙여넣기 하라는데......
저는 솔직히 이해가 하나도 안가서 검색을 해서 알아보니
<head> 바로 한 줄 밑에 칸에 복사한 메타태그를 붙여넣기 하고 오른쪽 상단에 저장을 누르면 되는 것 같았
습니다.
좀 더 쉽게 말하면 사진에 <head> 바로 옆에 빨간 짧은 세로 줄 부분에 커서를 가져다 놓고 엔터를 친 다음
그 밑에 한 줄 공백이 생기면 그 공백에 메타태그를 붙여넣기 하고 저장을 누르면 됩니다.
그리고 네이버 웹마스터 사이트 소유 확인 창으로 와서 제일 밑에 초록색 확인을 클릭하면 드디어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 등록이 완료가 된 것입니다.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사진을 띄우고 싶은데 미처 캡쳐를 하지 못하였습니다.
연동 사이트 목록에서 추가에 제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니 이미 등록한 사이트가 존재한다고 나오니
아쉬운대로 이 화면사진으로 대체 합니다. ↓↓
그런데 정말 오랜만에 뇌를 풀가동하여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등록을 하였지만 이 작업을 하면서 알게된 것
인데 RSS라는 것도 네이버 웹마스터한테 제출을 해야 될 것 같았습니다.
RSS가 뭔가 하고 검색해봤는데 남의 나라 말이라서 패스하구요. 남의 블로그에서 봤는데 RSS 제출이란 내
가 이러한 블로그를 만들었으니 글을 가져가 달라고 요청하는 행위라고 씌어 있었습니다.
그 글을 보고나니 또 안 할수가 없어서 한 숨 쉬면서 진행했는데 의외로 간단합니다.
(네이버 웹마스터에 rss 등록하기)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은 하면이 뜹니다.
↓↓
빨간 동그라미 안에 본인 블로그 주소를 클릭하면 또 이런 화면이 뜹니다.
↓↓
보시다시피 왼쪽에 메뉴가 몇개 있습니다.
그 중에 요청을 클릭하시면 RSS 제출이라고 있는데 그걸 클릭하시고
빨간줄 그은 칸에 본인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rss 를 입력하시고 확인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등록된 RSS에서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rss가 들어가 있는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한텐 다소 복잡했던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등록 및 rss 등록은 끝났습니다.
할 수 있을까? 하는 두려운 생각이 많았는데 하고 나니 나름 뿌듯함이 있습니다.
한편으론 과연 내가 제대로 한건지 의구심이 들지만 딱히 이상한 점은 보이지 않아서 만족합니다.
다음에는 구글 웹마스터 도구 등록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월급 외 수익 도전 > 애드센스 수익 도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수익 도전기(6. 애드센스 신청결과:1차 거절) (0) | 2018.04.21 |
---|---|
티스토리를 통한 구글 애드센스 수익 도전기(5. 애드센스 신청과정) (0) | 2018.04.20 |
구글 애드센스 수익 도전기(4. 웹마스터 도구 및 rss등록 -구글-) (0) | 2018.01.20 |
구글 애드센스 수익 도전기(2. 스킨설정 및 워터마크) (0) | 2017.10.23 |
구글 애드센스 수익 도전기(1. 티스토리 개설) (0) | 2017.10.16 |
댓글